사이버 망명
페이지 정보
작성자 천안장애인성폭력상담소 조회 429회 작성일 23-02-13 10:01본문
1. 개요[편집]
2. 상세[편집]
예를들면, A 국가에서 불법이고 B 국가에서 합법인 경우에 A에서 B로 옮기는 경우가 예. [1] [2]
참고로 인터넷 검열이 심해 사이버 망명이 심해지면, 그 국가의 소프트웨어, 하드웨어적인 인터넷 환경은 지체될 수밖에 없다. 국가 차원으로써 인터넷 사용을 밀어붙이지 않는 이상.[3]
사이버 망명이라면 바로 떠오를만한 정치적 이유, 음란물,[4] 저작권, 기타 법적 문제까지 다양하게 있으며 사실상 망명을 떠나는 국가 법률기준 불법적인 이유가 주된 케이스다.[5] 당연히 개중에는 한국 기준으로 불법이 아닌 경우(모 국가에서 특정 종교나 왕조/정권에 대한 욕설 등, 해당 국가에서 불법인 사항들)라면 한국의 서비스로 망명 올 수도 있다.
때로는 음란물 공유, 저작권 침해와 같이 어느 나라에서도 불법인 행위를 마음놓고 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공공연히 악용되는 병폐이기도 하다.[6] 그렇다고 이것을 무조건 비판할 수만도 없는 게, 해당 국가의 컨텐츠를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어도 구매를 막아놓은 컨텐츠를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이버 망명을 저지르는 사람들도 많다. 그리고 실생활에서 그리 먼 일은 아니다. 사실상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나무위키가 사이버 망명의 대표적인 예이며, 한국 법으로 문제가 될 문서를 작성, 혹은 문서에 수정/기여할 경우에 한해 그 이용자도 예시로 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인터넷 검열이 심해 사이버 망명이 심해지면, 그 국가의 소프트웨어, 하드웨어적인 인터넷 환경은 지체될 수밖에 없다. 국가 차원으로써 인터넷 사용을 밀어붙이지 않는 이상.[3]
사이버 망명이라면 바로 떠오를만한 정치적 이유, 음란물,[4] 저작권, 기타 법적 문제까지 다양하게 있으며 사실상 망명을 떠나는 국가 법률기준 불법적인 이유가 주된 케이스다.[5] 당연히 개중에는 한국 기준으로 불법이 아닌 경우(모 국가에서 특정 종교나 왕조/정권에 대한 욕설 등, 해당 국가에서 불법인 사항들)라면 한국의 서비스로 망명 올 수도 있다.
때로는 음란물 공유, 저작권 침해와 같이 어느 나라에서도 불법인 행위를 마음놓고 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공공연히 악용되는 병폐이기도 하다.[6] 그렇다고 이것을 무조건 비판할 수만도 없는 게, 해당 국가의 컨텐츠를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어도 구매를 막아놓은 컨텐츠를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이버 망명을 저지르는 사람들도 많다. 그리고 실생활에서 그리 먼 일은 아니다. 사실상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나무위키가 사이버 망명의 대표적인 예이며, 한국 법으로 문제가 될 문서를 작성, 혹은 문서에 수정/기여할 경우에 한해 그 이용자도 예시로 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3. 단점[편집]
한때는 해외망의 대역폭 한계와, 망명한 서버가 있는 국가의 인터넷 접속 환경이 열약해서 클라이언트(유저) 입장에서 속도가 매우 느렸다.
하지만 글로벌 IDC(클라우드플레어, AWS(아마존 웹 서비스) 등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기술과 시장이 발전하면서, 대부분의 망명 서비스.사이트들은 이런 서비스를 사용 시, 자국내 서버를 사용하는 수준으로 매우 쾌적한 접속 환경을 갖추게 되었다. 또한 국내 ISP들도 날이 갈수록 해저 케이블의 해외망 대역폭을 늘리는 중이라, 이런 단점은 거의 다 사라졌다고 봐도 무방한 수준. 하지만 이런 IaaS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 곳은, 여전히 속도(대역폭)의 한계를 많이 겪는 중이다.
2019년 기준 나무위키도 Cloudflare사의 엔터프라이즈 플랜을 사용중이며, 메인 서버의 위치가 지구 반대편인 파라과이에 있다는 것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쾌적하고 빠른 체감속도를 느낄 수 있다. 이는 Cloudflare의 CDN 및 캐시, 부하분산 등의 서버 솔루션은 서울(ICN), 일본 등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자세한 내용은 Cloudflare 문서 참고.
하지만 글로벌 IDC(클라우드플레어, AWS(아마존 웹 서비스) 등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기술과 시장이 발전하면서, 대부분의 망명 서비스.사이트들은 이런 서비스를 사용 시, 자국내 서버를 사용하는 수준으로 매우 쾌적한 접속 환경을 갖추게 되었다. 또한 국내 ISP들도 날이 갈수록 해저 케이블의 해외망 대역폭을 늘리는 중이라, 이런 단점은 거의 다 사라졌다고 봐도 무방한 수준. 하지만 이런 IaaS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 곳은, 여전히 속도(대역폭)의 한계를 많이 겪는 중이다.
2019년 기준 나무위키도 Cloudflare사의 엔터프라이즈 플랜을 사용중이며, 메인 서버의 위치가 지구 반대편인 파라과이에 있다는 것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쾌적하고 빠른 체감속도를 느낄 수 있다. 이는 Cloudflare의 CDN 및 캐시, 부하분산 등의 서버 솔루션은 서울(ICN), 일본 등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자세한 내용은 Cloudflare 문서 참고.
4. 게임 ESD 관련[편집]
- 국내 미성년자 PSN, 엑스박스 라이브 유저들의 사이버 망명
플레이스테이션 3, 플레이스테이션 4, 플레이스테이션 비타, 엑스박스 360, 엑스박스 원 콘솔을 보유한 외국어가 능숙한 미성년자들은 한국 PSN, 엑스박스 라이브 방침상 한국 계정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해외 PSN, 엑스박스 라이브 계정을 주로 이용한다.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코리아 한국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이에 대해 별다른 제재를 가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7] 또한 성인의 경우에도 한국에서 서비스하지 않는 해외 게임을 이용하기 위해 해외 계정을 만들기도 한다.
- 한국, 중화권 닌텐도 스위치 유저들의 사이버 망명
PlayStation Network, 엑스박스 라이브에도 해외 계정을 만든 한국, 중화권 유저들은 많지만, 닌텐도 어카운트의 스위치 한국, 홍콩, 대만 계정 미지원, 한국닌텐도의 부실한 게임 라인업으로 인하여 일본어, 영어가 능숙한 한국 유저들은 미국이나 일본 닌텐도 계정을 더 많이 만들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에서 결제가 안 되는 신용카드나 체크카드가 해외 닌텐도 네트워크에서 결제가 가능하다는 이점도 있다.
5. 제재[편집]
5.1. 차단[편집]
이에 대한 규제적 반격으로 해당 국가에 속한 IP로 (또는 정반대로 특정국가 이외 IP에서) 관련 홈페이지로 접근 시 접속 자체를 차단하는 것부터 중국의 경우처럼 해외 인터넷망으로의 접촉 자체를 차단해 버리는 인터넷의 의미 자체를 부정하는 것까지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의 유해 사이트 차단(warning.or.kr)과 중국의 황금방패가 있다. 상세한 내용은 인터넷 검열 참조.
차단 회피를 위한 기술로 프록시 서버와 가상 사설망, 테더링, 암호화(TLS 등)라는 우회로가 존재하나, 국가의 차단 기술도 이에 대응하여 발전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2019년부터 HTTPS 패킷을 검사하여 차단하는 기술을 도입하였다. 관련 내용은 2019년 인터넷 검열 사건 문서 참조.
중국의 경우에는 중국 정부가 기계학습 등의 기술을 도입하고 VPN 등을 집중 단속하고 있지만 그래도 쓸 사람은 쓴다.[8] 이 때문에 중국에서 활동하는 연예인들은 중국측 팬들을 위해 웨이보 등의 중국 SNS를 별도로 가입해야 한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의 유해 사이트 차단(warning.or.kr)과 중국의 황금방패가 있다. 상세한 내용은 인터넷 검열 참조.
차단 회피를 위한 기술로 프록시 서버와 가상 사설망, 테더링, 암호화(TLS 등)라는 우회로가 존재하나, 국가의 차단 기술도 이에 대응하여 발전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2019년부터 HTTPS 패킷을 검사하여 차단하는 기술을 도입하였다. 관련 내용은 2019년 인터넷 검열 사건 문서 참조.
중국의 경우에는 중국 정부가 기계학습 등의 기술을 도입하고 VPN 등을 집중 단속하고 있지만 그래도 쓸 사람은 쓴다.[8] 이 때문에 중국에서 활동하는 연예인들은 중국측 팬들을 위해 웨이보 등의 중국 SNS를 별도로 가입해야 한다(...).
5.2. 국가단위 인트라넷[편집]
6. 해외에서의 사이버 망명[편집]
2020년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및 Black Lives Matter와 관련된 각종 음모론, 가짜 뉴스가 기성 SNS를 타고 크게 전파되면서 기성 SNS인 페이스북, 트위터가 해당 가짜뉴스에 대한 단속을 시작하자, 가짜뉴스 유포자들은 기성 SNS들이 진실을 가리고 있다며 팔러라는 대안 SNS로 옮기기 시작했다. 이는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시즌에 트위터 측의 도널드 트럼프의 발언 블라인드로 더 심화되고 있는 상황. 특이하게도 국가적인 규제가 아닌[9] 플랫폼 측의 자율규제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타 서비스로 망명한 사례.
그리고 팔러는 이후에 아마존 웹 서비스에도 내려가자 러시아측의 클라우드 서비스인 DDoS-Guard로 이전하였다. 정말로 사이버 망명을 해 버린 것.
또한 QAnon 성향의 가짜뉴스 유포자들은 2021년 1월 이후에는 주로 텔레그램으로 옮겼다.
그리고 팔러는 이후에 아마존 웹 서비스에도 내려가자 러시아측의 클라우드 서비스인 DDoS-Guard로 이전하였다. 정말로 사이버 망명을 해 버린 것.
또한 QAnon 성향의 가짜뉴스 유포자들은 2021년 1월 이후에는 주로 텔레그램으로 옮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