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가감정
페이지 정보
작성자 천안장애인성폭력상담소 조회 406회 작성일 23-02-13 11:56본문
1. 개요[편집]
한자 | 兩價感情 |
일본어 | 両面価値感情 |
영어 | ambivalence |
하나의 대상에 대해서, 서로 완전히 정반대인 감정을 동시에 느끼는 것. 다만 그 정반대되는 감정이 하나의 사건에서 모두 표출될 필요는 없다.
대표적으로 애증이란 감정도 긴 역사 속에서 많이 표현되어 왔고, 일상어에도 "시원섭섭하다", "bitter-sweet"(좋기도 하고 슬프기도 한) 등의 표현이 있으며, 사회심리학 및 각종 연구에서 쓰이는 양가적 차별이라는 용어도 있다. 정서적인 공감과 긴 생각이 필요한 설명을 거치지 않고 설명하자면 다이어트 중인 사람들이 배가 고파서 밥을 먹고 싶은데 다이어트 때문에 자기가 밥을 먹고 싶은 만큼 밥을 먹기가 싫어지는 그런 감정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다.
주로 어떤 동일한 대상의 한 속성에 대해서 느끼는 감정과 다른 속성에 대해서 느끼는 감정이, 그 감정 각각으로는 전혀 상반됨에도 그 각각의 감정들 하나하나가 본인의 전체 의식을 뒤흔들 만큼 강렬한 경우에 이런 심리가 발생한다... 는 경험자 주장이 있지만. (ex : 위의 다이어트 중인 사람의 예시로 들어가면, 밥의 "배고픔을 채워준다" 라는 속성과 그에 의해서 발생하는 감정, 그리고 "먹으면 살 찐다"라는 속성과 그에 의해서 발생하는 감정 둘 모두가 그 사람의 전체 의식을 뒤흔들기 때문에 하나를 떠올리면 다른 하나를 생각할 수도 없게 되는 것.)
2. 양가감정과 정서[편집]
굳이 의료 관련 정보에 이 용어가 등재된 것은, 실제 수많은 정신병을 구성하는 주된 원소가 바로 이 양가감정이기 때문이다. 일단 정신병 레벨로 승화된 다음의 양가감정은 이 문단에서 말하는 것처럼 느긋하게 생각 정리하고 있는 것으로는 손도 못 댈 정도로 커지는 경우가 많고, 애초에 양가감정 상태에서는 같은 대상에 대한 여러가지 감정 중 하나의 감정을 느끼고 있으면 다른 감정은 아예 있는 줄도 모르도록 전체 의식이 그 감정에만 쏠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 사람 머리 속에 직접 들어가 보지 않는 이상, 아니 직접 들어가 보더라도[1] 그 사람이 자기가 표현하고 있는 그 감정만을 진심으로 원하는 줄 안다고 해도 할 말이 없다.
감정기복이 심한 사람들이 어떤 한 가지의 감정을 표현하길래 그 사람의 뜻대로 그 감정을 풀어줬더니 악행으로 보답하더라는 사례가[2] 이런 경우로, 다른 사람들이 볼 때는 하나의 감정에 사로잡혀있는 것처럼 보인 그것이 그 사람 본인의 입장에서는 양가감정이었던 상황이다.
정신병자를 대할 때나 일반인을 대할 때나, 겉으로 볼 때는 단일한 감정의 표현처럼 보이는 상황이 실제로도 단일한 감정인지 아니면 양가감정인지 알고 처신하면 눈치가 좋다는 소리를 듣는다. 사회성이나 암묵의 룰을 구성하는 주된 요소가 바로 이것이기도 하다.
정신의학적으로는 대상관계 이론 등, 어릴 때의 주요 대상[3]에게 갖고 있는 양가감정을 거의 대부분의 정신병의 원인으로 설명하던 이론이 정신의학 초기에 적지 않았다. 대상관계 이론은 일반인들에게 자연스럽게 퍼져 있어서 그게 하나의 이론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으며, 정신병을 어린 시절 부모나 가족들과의 관계 불안정성에서 설명하는 개념이 대상관계 이론에서 나온 것이다.
감정기복이 심한 사람들이 어떤 한 가지의 감정을 표현하길래 그 사람의 뜻대로 그 감정을 풀어줬더니 악행으로 보답하더라는 사례가[2] 이런 경우로, 다른 사람들이 볼 때는 하나의 감정에 사로잡혀있는 것처럼 보인 그것이 그 사람 본인의 입장에서는 양가감정이었던 상황이다.
정신병자를 대할 때나 일반인을 대할 때나, 겉으로 볼 때는 단일한 감정의 표현처럼 보이는 상황이 실제로도 단일한 감정인지 아니면 양가감정인지 알고 처신하면 눈치가 좋다는 소리를 듣는다. 사회성이나 암묵의 룰을 구성하는 주된 요소가 바로 이것이기도 하다.
정신의학적으로는 대상관계 이론 등, 어릴 때의 주요 대상[3]에게 갖고 있는 양가감정을 거의 대부분의 정신병의 원인으로 설명하던 이론이 정신의학 초기에 적지 않았다. 대상관계 이론은 일반인들에게 자연스럽게 퍼져 있어서 그게 하나의 이론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으며, 정신병을 어린 시절 부모나 가족들과의 관계 불안정성에서 설명하는 개념이 대상관계 이론에서 나온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