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낵 컬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천안장애인성폭력상담소 조회 911회 작성일 23-03-13 14:14본문
1. 개요[편집]
2. 상세[편집]
2.1. 발생 배경[편집]
상기에서는 문화라 기재하였지만, 실상은 스마트폰의 발달과 정보의 범람, 현대인의 쉽고 빠르게 재미있는 문화를 소비하고자 하는 수요가 결합되어 탄생한 문화소비현상을 가리키는 경우가 태반이다. 물론 이런 문화소비현상도 어느 의미로는 또 다른 문화로 간주되고 또 이런 문화를 소비하려는 경향도 분명히 있기 때문에 순환논법 같지만 분명한 사실이다.
스낵 컬처라는 용어가 부각되기 시작한 것은 대략 2010년대로,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하면서 함께 인지도가 높아지기 시작한 단어이다. 소설, 웹툰은 물론이고 게임계에서도 스마트폰을 새로운 소비 창구로 보기 시작하면서 "어떻게 하면 스마트폰에서 (자사의) 콘텐츠를 소모하게 할 수 있을까?"라는 주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한편으로 소비자 역시 휴대폰에 인터넷 소통의 개념을 접목한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짧은 시간에 만족도가 높은 콘텐츠를 다량으로 소비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다. 시간은 한정되어 있는 데 반해 콘텐츠는 매일매일 제곱 수준으로 불어나는 상황에서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짧은 시간 안에 다량의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밖에 답이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소비자의 수요와 콘텐츠 공급자의 수요가 만나서 결합된 것이 바로 스낵 컬처라고 할 수 있다. 공급자의 입장에서는 소비자가 짧은 시간에 큰 만족을 느낄 수 있는 공감 소재를 적극 활용한 짧은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공급하기 시작했고, 소비자는 짧은 시간에 큰 만족을 느낄 수 있는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소비하기 시작했다. 스마트폰 보급률이 90%대에 육박하는 현대 사회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콘텐츠가 스낵 컬처에 가깝게 제작되고 있으며, 역으로 수많은 사용자들이 소모하는 콘텐츠들을 들여다보면 스낵 컬처가 기반인 것들이 많다.
스낵 컬처라는 용어가 부각되기 시작한 것은 대략 2010년대로,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하면서 함께 인지도가 높아지기 시작한 단어이다. 소설, 웹툰은 물론이고 게임계에서도 스마트폰을 새로운 소비 창구로 보기 시작하면서 "어떻게 하면 스마트폰에서 (자사의) 콘텐츠를 소모하게 할 수 있을까?"라는 주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한편으로 소비자 역시 휴대폰에 인터넷 소통의 개념을 접목한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짧은 시간에 만족도가 높은 콘텐츠를 다량으로 소비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다. 시간은 한정되어 있는 데 반해 콘텐츠는 매일매일 제곱 수준으로 불어나는 상황에서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짧은 시간 안에 다량의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밖에 답이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소비자의 수요와 콘텐츠 공급자의 수요가 만나서 결합된 것이 바로 스낵 컬처라고 할 수 있다. 공급자의 입장에서는 소비자가 짧은 시간에 큰 만족을 느낄 수 있는 공감 소재를 적극 활용한 짧은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공급하기 시작했고, 소비자는 짧은 시간에 큰 만족을 느낄 수 있는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소비하기 시작했다. 스마트폰 보급률이 90%대에 육박하는 현대 사회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콘텐츠가 스낵 컬처에 가깝게 제작되고 있으며, 역으로 수많은 사용자들이 소모하는 콘텐츠들을 들여다보면 스낵 컬처가 기반인 것들이 많다.
2.2. 특징[편집]
위에서도 지속적으로 상기했지만 짧고 굵은 콘텐츠가 스낵 컬처의 주 핵심이다. 스낵 컬처를 기반으로 했다고 여길 수 있는 콘텐츠들은 '1분만에 현웃'이라든지 'XX짤'이라든지 등 아주 짧은 순간에 소비자로 하여금 본능에 가까운 재미를 안겨주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그리고 거의 대부분의 콘텐츠가 이런 짧은 임팩트에 목숨을 걸고 있다.
짧은 시간 안에 소비자를 이해시키고 웃기든가 감동을 주든가 등 어떤 감정을 유발시켜야 하기 때문에, 스낵 컬처는 '글자'보다 '시각적인 형태'로 구성되는 경향이 강하다. 정보 전달 또는 교육 목적으로 제작되는 콘텐츠도 인포그래픽이 최대한 활용되어 소비자가 정보를 직관적으로 즉시 습득하게 하도록 제작된다. 흔히 말하는 짤방도 가볍게 즐기는 스낵 컬처와 같은 니즈에서 출발했으며, 로딩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동영상을 대신하는 GIF식 짤방도 수없이 만들어졌다. 유튜브에서 만들어지는 대부분의 영상들도 길어봐야 10분 내외로 구성되고 있는 수준. 아무리 글자를 통한 이야기 전달이 중요한 콘텐츠라 해도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그림이나 영상이 들어가는 상황이며, 글을 읽는 것에 부담을 느끼지 않게끔 하는 카드뉴스도 여기저기서 만들어지고 있는 형국이다.
그렇다고 '글자'가 스낵 컬처에 불리한가 하면 그렇지도 않다. '글자'로 구성되는 콘텐츠 역시 다양한 방면으로 진화했는데,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것 중 하나가 썰이다. '여자친구와 헤어진 썰'이라든지 '황당한 상황을 겪은 썰'이라든지 등 썰의 개념이 들어가 있는 게시물들을 보면 알겠지만 대개의 썰들은 읽는 데에 부담되지 않는 짧은 길이 안에 소비자의 동감과 동정심, 재미 등을 유도하는 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썰이 진화하여 카카오톡 대화창이 되는 등, 더 간결하고 직설적인 언어로 빠르게 재미와 공감을 주는 방식들도 등장하고 있다. 속담이나 속어에 비견할 만큼 수없이 많이 탄생한 유행어들도 그 사용목적이 짧은 시간 안에 소비자와 같은 공감대를 만드는 것에 있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유행어 역시 스낵 컬처로 인해 탄생한 한 줄기의 문화라고 볼 수 있다.
짧은 시간 안에 소비자를 이해시키고 웃기든가 감동을 주든가 등 어떤 감정을 유발시켜야 하기 때문에, 스낵 컬처는 '글자'보다 '시각적인 형태'로 구성되는 경향이 강하다. 정보 전달 또는 교육 목적으로 제작되는 콘텐츠도 인포그래픽이 최대한 활용되어 소비자가 정보를 직관적으로 즉시 습득하게 하도록 제작된다. 흔히 말하는 짤방도 가볍게 즐기는 스낵 컬처와 같은 니즈에서 출발했으며, 로딩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동영상을 대신하는 GIF식 짤방도 수없이 만들어졌다. 유튜브에서 만들어지는 대부분의 영상들도 길어봐야 10분 내외로 구성되고 있는 수준. 아무리 글자를 통한 이야기 전달이 중요한 콘텐츠라 해도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그림이나 영상이 들어가는 상황이며, 글을 읽는 것에 부담을 느끼지 않게끔 하는 카드뉴스도 여기저기서 만들어지고 있는 형국이다.
그렇다고 '글자'가 스낵 컬처에 불리한가 하면 그렇지도 않다. '글자'로 구성되는 콘텐츠 역시 다양한 방면으로 진화했는데,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것 중 하나가 썰이다. '여자친구와 헤어진 썰'이라든지 '황당한 상황을 겪은 썰'이라든지 등 썰의 개념이 들어가 있는 게시물들을 보면 알겠지만 대개의 썰들은 읽는 데에 부담되지 않는 짧은 길이 안에 소비자의 동감과 동정심, 재미 등을 유도하는 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썰이 진화하여 카카오톡 대화창이 되는 등, 더 간결하고 직설적인 언어로 빠르게 재미와 공감을 주는 방식들도 등장하고 있다. 속담이나 속어에 비견할 만큼 수없이 많이 탄생한 유행어들도 그 사용목적이 짧은 시간 안에 소비자와 같은 공감대를 만드는 것에 있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유행어 역시 스낵 컬처로 인해 탄생한 한 줄기의 문화라고 볼 수 있다.
2.3. 영향[편집]
2.3.1. 장점[편집]
최대 장점 중 하나는 역시 누가 뭐라 해도 짧고 굵은 재미이다. 스낵 컬처를 기조로 만들어진 콘텐츠는 짧은 시간 안에 소비할 수 있고, 누구나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쉬운 소재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자신이 이해하고 웃거나 공감하는 데에 그리 긴 시간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물리적으로 짧기 때문에 단시간에 많은 양을 생산해 유통시킬 수 있다. 이는 출판처럼 한 권의 콘텐츠를 담는 데 긴 시간이 필요하지 않다는 의미와 같으며, 크리에이터는 한 개의 콘텐츠를 빠르게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마음만 먹으면 자신이 생각한 콘텐츠를 끊임없이 유통시킬 수 있다.
또 콘텐츠 제작이 상대적으로 쉬운 편이기 때문에 콘텐츠 제작을 결심하게 된 시기의 이슈나 뉴스거리를 담기에도 유리한 구조를 지니게 된다. 책이나 CD 등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번거로운 절차가 없기 때문에, 이슈거리가 등장할 때마다 크리에이터 각자의 시선으로 웹툰, 동영상, 하다못해 비판글과 같은 콘텐츠를 수두룩하게 쏟아낼 수 있다. 크리에이터는 이렇게 만들어진 자신의 콘텐츠를 통해 이슈를 몰랐던 사람에게는 이슈에 대한 지식 전달을, 이슈를 알고 있는 사람에게는 이슈에 대한 공감대 형성 등을 이룩해 낼 수 있다.
그리고 스낵 컬처 콘텐츠가 짧기 때문에 발생하는 또 다른 장점은 바로 파급력이 좋고 전달이 굉장히 빠르다는 점이다. 가장 좋은 예가 만화인데, 같은 만화더라도 웹툰과 월간잡지 만화는 파급력에 있어 큰 차이가 있고 소비자의 숫자도 천지차이이다. 또한 최대 일주일에 한 개 만들어지는 웹툰의 경우 별도의 번거로운 가공 절차 없이 특정 사이트에 올리기만 하면 수많은 사람들이 짧은 시간 안에 소비할 수 있다. 그 웹툰이 재밌어서 다른 사람에게 추천하는 과정도 심플한 건 덤. 정반대로 월간지로 바꿔서 월간지 만화를 사서 읽고 누군가에게 추천하는 과정을 생각해 보면, 웹툰과 같은 스낵 컬처의 파급력이 얼마나 더 빠른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물리적으로 짧기 때문에 단시간에 많은 양을 생산해 유통시킬 수 있다. 이는 출판처럼 한 권의 콘텐츠를 담는 데 긴 시간이 필요하지 않다는 의미와 같으며, 크리에이터는 한 개의 콘텐츠를 빠르게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마음만 먹으면 자신이 생각한 콘텐츠를 끊임없이 유통시킬 수 있다.
또 콘텐츠 제작이 상대적으로 쉬운 편이기 때문에 콘텐츠 제작을 결심하게 된 시기의 이슈나 뉴스거리를 담기에도 유리한 구조를 지니게 된다. 책이나 CD 등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번거로운 절차가 없기 때문에, 이슈거리가 등장할 때마다 크리에이터 각자의 시선으로 웹툰, 동영상, 하다못해 비판글과 같은 콘텐츠를 수두룩하게 쏟아낼 수 있다. 크리에이터는 이렇게 만들어진 자신의 콘텐츠를 통해 이슈를 몰랐던 사람에게는 이슈에 대한 지식 전달을, 이슈를 알고 있는 사람에게는 이슈에 대한 공감대 형성 등을 이룩해 낼 수 있다.
그리고 스낵 컬처 콘텐츠가 짧기 때문에 발생하는 또 다른 장점은 바로 파급력이 좋고 전달이 굉장히 빠르다는 점이다. 가장 좋은 예가 만화인데, 같은 만화더라도 웹툰과 월간잡지 만화는 파급력에 있어 큰 차이가 있고 소비자의 숫자도 천지차이이다. 또한 최대 일주일에 한 개 만들어지는 웹툰의 경우 별도의 번거로운 가공 절차 없이 특정 사이트에 올리기만 하면 수많은 사람들이 짧은 시간 안에 소비할 수 있다. 그 웹툰이 재밌어서 다른 사람에게 추천하는 과정도 심플한 건 덤. 정반대로 월간지로 바꿔서 월간지 만화를 사서 읽고 누군가에게 추천하는 과정을 생각해 보면, 웹툰과 같은 스낵 컬처의 파급력이 얼마나 더 빠른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3.2. 단점[편집]
스낵 컬처가 가져온 문제점 중 하나는 '조회수'가 가져오는 비인기 콘텐츠에 대한 처우이다. 비인기 크리에이터는 자신의 콘텐츠를 게시하거나 읽게 만들 창구가 하나밖에 없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크리에이터가 여러 사람과 공감하거나 비판을 재기하고자 만든 콘텐츠가 결국 소수의 몇몇에게만 전달되므로 해당 콘텐츠는 여러 사람들에게 전파되지 못하고 쉽고 빠르게 묻히며, 이는 결과적으로 크리에이터가 제작 결과물의 인기도에 따라 매번 불안정한 수입을 얻게 되는 결과를 야기한다.
그래서 다른 크리에이터들과 경쟁하려면 하루에도 몇 개의 콘텐츠를 만들어내야 하는데, 이는 정반대로 말하면 크리에이터의 상상력이나 콘텐츠 제작에 대한 의욕을 빠르게 감퇴시킬 수 있다는 이야기도 된다. 소비자 입장에서야 재미있는 콘텐츠가 있고 그것이 수시로 올라온다면 기쁜 일이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인기를 얻고 많은 조회수와 소비자를 끌어모아야 하는 크리에이터 입장에서는 매번 다른 소재, 다른 콘텐츠를 제작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쉬운 일은 아니기에 수명이 짧아질 수밖에 없다. 초등학생들을 상대로 직업 선호도 조사를 하면 거의 항상 상위권에 유튜버가 올라오지만, 실제로는 동업자의 엄청난 숫자와 그에 비례해 과도한 경쟁이 펼쳐지는 레드 오션인 것이다.
결국 나름대로 경쟁력과 개성을 갖겠다고 이슈에 맞는 콘텐츠의 제작으로 선회하면서 크리에이터들의 상상력과 콘텐츠 내용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인기도에 모든 것이 좌지우지되는 스낵 컬처의 특성 상, 말초적인 재미를 노리는 콘텐츠의 비중이 점점 증가하게 된다. 보고 웃기만 하면 되는 몸개그나 밈, 짤방 등에서는 소비자 개개인이 생각하거나 개입할 여지가 주어지지 않는다. 또 크리에이터가 아닌 소비자가 콘텐츠 제작의 기준이 되므로, 크리에이터가 가진 개개인의 콘텐츠 성향이나 문제 제기의 가능성은 자연스레 상실된다. 이는 사회적으로 문화의 단조로움을 불러오고 소비자 입장에서도 '올라온 건 많은데 볼 게 없다'는 인상을 갖게 되고, 그 결과 인기가 높은 특정 장르 외의 분야에 대해서는 크리에이터와 소비자 모두 비판도 공감도 제기하지 않으려는 풍조를 만들게 된다.
이러한 스낵 컬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플랫폼의 독과점과 정보 통제 문제도 야기할 수 있다. 콘텐츠가 짧은 시간에 너무 대량으로 유통되기 때문에 소비자와 콘텐츠를 연결해야 하는 플랫폼이 어떤 콘텐츠를 소비자에게 유통시킬지에 대한 권력을 가지기 쉽다. 어차피 플랫폼에 올라올 콘텐츠는 많으므로 이를 취사선택하여 소비자에게 추천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돈을 들여 운영하는 사기업 플랫폼의 경우 사회적,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어떤 콘텐츠는 올리고 어떤 콘텐츠는 아예 노출이 되지 않게끔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스낵컬쳐의 단발성이 대두될수록 긴 호흡을 가진 문화는 시장에서 도태된다. 깊이 있는 이야기에는 어느 정도의 길이가 필요하다[2]는 것이 정론인데 스낵 컬처만 양산되는 문화에서는 사람의 마음을 흔들 이야기가 만들어지기 힘들다. 100자 만으로 자신의 인생을 모두 표현하라면 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듯이 말이다. 그러나 현실 사람들은 100자 이내에서 모든 것을 갖길 원한다. 웹소설은 긴 분량을 가지고 있으나 자세히 보면 짧은 기승전결의 반복이다. 독자들이 기다리다 지치지 않도록 최대한 빠르게 시작하고 매듭짓는다. 그리고 연재라는 틀 안에서 이 사이클을 반복한다. 이에 대해 더 자세히 보고 싶으면 사이다패스 문서 참고.
그래서 다른 크리에이터들과 경쟁하려면 하루에도 몇 개의 콘텐츠를 만들어내야 하는데, 이는 정반대로 말하면 크리에이터의 상상력이나 콘텐츠 제작에 대한 의욕을 빠르게 감퇴시킬 수 있다는 이야기도 된다. 소비자 입장에서야 재미있는 콘텐츠가 있고 그것이 수시로 올라온다면 기쁜 일이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인기를 얻고 많은 조회수와 소비자를 끌어모아야 하는 크리에이터 입장에서는 매번 다른 소재, 다른 콘텐츠를 제작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쉬운 일은 아니기에 수명이 짧아질 수밖에 없다. 초등학생들을 상대로 직업 선호도 조사를 하면 거의 항상 상위권에 유튜버가 올라오지만, 실제로는 동업자의 엄청난 숫자와 그에 비례해 과도한 경쟁이 펼쳐지는 레드 오션인 것이다.
결국 나름대로 경쟁력과 개성을 갖겠다고 이슈에 맞는 콘텐츠의 제작으로 선회하면서 크리에이터들의 상상력과 콘텐츠 내용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인기도에 모든 것이 좌지우지되는 스낵 컬처의 특성 상, 말초적인 재미를 노리는 콘텐츠의 비중이 점점 증가하게 된다. 보고 웃기만 하면 되는 몸개그나 밈, 짤방 등에서는 소비자 개개인이 생각하거나 개입할 여지가 주어지지 않는다. 또 크리에이터가 아닌 소비자가 콘텐츠 제작의 기준이 되므로, 크리에이터가 가진 개개인의 콘텐츠 성향이나 문제 제기의 가능성은 자연스레 상실된다. 이는 사회적으로 문화의 단조로움을 불러오고 소비자 입장에서도 '올라온 건 많은데 볼 게 없다'는 인상을 갖게 되고, 그 결과 인기가 높은 특정 장르 외의 분야에 대해서는 크리에이터와 소비자 모두 비판도 공감도 제기하지 않으려는 풍조를 만들게 된다.
이러한 스낵 컬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플랫폼의 독과점과 정보 통제 문제도 야기할 수 있다. 콘텐츠가 짧은 시간에 너무 대량으로 유통되기 때문에 소비자와 콘텐츠를 연결해야 하는 플랫폼이 어떤 콘텐츠를 소비자에게 유통시킬지에 대한 권력을 가지기 쉽다. 어차피 플랫폼에 올라올 콘텐츠는 많으므로 이를 취사선택하여 소비자에게 추천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돈을 들여 운영하는 사기업 플랫폼의 경우 사회적,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어떤 콘텐츠는 올리고 어떤 콘텐츠는 아예 노출이 되지 않게끔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스낵컬쳐의 단발성이 대두될수록 긴 호흡을 가진 문화는 시장에서 도태된다. 깊이 있는 이야기에는 어느 정도의 길이가 필요하다[2]는 것이 정론인데 스낵 컬처만 양산되는 문화에서는 사람의 마음을 흔들 이야기가 만들어지기 힘들다. 100자 만으로 자신의 인생을 모두 표현하라면 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듯이 말이다. 그러나 현실 사람들은 100자 이내에서 모든 것을 갖길 원한다. 웹소설은 긴 분량을 가지고 있으나 자세히 보면 짧은 기승전결의 반복이다. 독자들이 기다리다 지치지 않도록 최대한 빠르게 시작하고 매듭짓는다. 그리고 연재라는 틀 안에서 이 사이클을 반복한다. 이에 대해 더 자세히 보고 싶으면 사이다패스 문서 참고.
3. 현황[편집]
장단점이 어떻든 간에 스낵 컬처는 현대인의 문화 생활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그 영향력은 점점 더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에 스낵 컬처의 특징과 다소 동떨어진 문화들은 점점 더 소수의, 고전적인 소비자에 의해서만 향유되는 문화가 되어가고 있으며, 새로운 세대는 특별한 흥미가 있어 이를 직접 찾아나서거나 누군가에게 추천을 받지 않는 이상 다른 문화가 존재한다는 것조차 알기 어려워졌다.
매일같이 쏟아져 나오는 콘텐츠들의 태반이 소비자들의 이목을 끄는 짧고 단순한 장르나 이슈와 영합하는 자극적인 정보 위주로만 구성되어 있어, 스낵 컬쳐의 부작용은 현실화되고 있다. 반대로 확실히 모든 사람들이 알고 있어야 하거나 큰 이슈가 될 만한 콘텐츠는 스낵 컬처의 힘을 빌어 여러 사람들에게 전파되기도 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박근혜 대통령 탄핵사건으로, 이 시기에 박근혜 대통령과 최순실 게이트를 비꼬는 수많은 짤방과 영상, 비판글이 만들어지면서 대중에게 사건의 심각도를 전달하는 역할을 했다.
상기했던 웹툰, 웹소설, 유튜브, 짤방 등의 문화는 짧고 재밌는 것을 쉽게 이해하고 소비하고자 하는 인터넷 사용자들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모바일 게임도 코레류 게임이나 AAA 게임 등 장기간 붙잡고 진행해야 하는 게임보다는 캐주얼한 미니게임이나 자동사냥 기능이 붙은 MMORPG 게임이 인기를 얻고 있다. 어쩔 수 없이 길게 진행되는 콘텐츠(인방,스포츠 경기 등)은 쇼츠 영상 길이에 맞게 짧게 따는 하이라이트, 인방용어로 키리누키 형태로 얇게 썰어서 핵심 부분만 감상하는 식으로 영상을 가공해 재생산하고 있다.
매일같이 쏟아져 나오는 콘텐츠들의 태반이 소비자들의 이목을 끄는 짧고 단순한 장르나 이슈와 영합하는 자극적인 정보 위주로만 구성되어 있어, 스낵 컬쳐의 부작용은 현실화되고 있다. 반대로 확실히 모든 사람들이 알고 있어야 하거나 큰 이슈가 될 만한 콘텐츠는 스낵 컬처의 힘을 빌어 여러 사람들에게 전파되기도 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박근혜 대통령 탄핵사건으로, 이 시기에 박근혜 대통령과 최순실 게이트를 비꼬는 수많은 짤방과 영상, 비판글이 만들어지면서 대중에게 사건의 심각도를 전달하는 역할을 했다.
상기했던 웹툰, 웹소설, 유튜브, 짤방 등의 문화는 짧고 재밌는 것을 쉽게 이해하고 소비하고자 하는 인터넷 사용자들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모바일 게임도 코레류 게임이나 AAA 게임 등 장기간 붙잡고 진행해야 하는 게임보다는 캐주얼한 미니게임이나 자동사냥 기능이 붙은 MMORPG 게임이 인기를 얻고 있다. 어쩔 수 없이 길게 진행되는 콘텐츠(인방,스포츠 경기 등)은 쇼츠 영상 길이에 맞게 짧게 따는 하이라이트, 인방용어로 키리누키 형태로 얇게 썰어서 핵심 부분만 감상하는 식으로 영상을 가공해 재생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