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된 무기력
페이지 정보
작성자 천안장애인성폭력상담소 조회 527회 작성일 22-11-30 16:06본문
1. 이론[편집]
2. 실험[편집]
유명한 관련 일화로는 '서커스단의 코끼리'가 있다. 대략 어린 코끼리를 처음에 잡아오면 쇠사슬을 다리에 채워서 튼튼하게 박은 말뚝에 묶어놓는다. 그러면 어린 코끼리는 처음에는 격하게 저항하지만 있는 힘껏 저항해도 그 구속을 풀 수 없음을 알게 되어 자신의 처지에 순응하게 된다. 그러면 성체가 되어서 썩은 나무 말뚝에 새끼줄로 묶어 놓아도 저항하거나 도망치지 않는다는 내용. 부실한 줄로 묶여있는데도 탈출하지 못하는 이유는, 그 코끼리가 어린 시절 사육사에 의해 "무슨 짓을 해도 구속을 끊지 못한다"는 게 각인되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다만 이는 사실 낭설로, 실제 코끼리는 인간 다음가는 수준의 고지능 생물인데다가 힘도 굉장히 세서 이 정도는 가볍게 끊고 도망간다. 일부 연구 결과에서는 코끼리는 자신이 성장하고 있음을 알며, 충분히 성장하면 기존에 못 하던 일을 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까지 할 수 있는 동물이라고까지 하므로 실제로는 해당이 되지 않는다.
벼룩을 통에 가두어 뚜껑을 닫은 채 두면, 원래라면 충분히 뛰어넘을 수 있는 높이인 데도 탈출하려고 계속 뛰면서 뚜껑에 계속 부딪히면 이후 뚜껑을 열어도 뚜껑 높이까지 밖에 뛸 수 없게 되어 통 속에서 나오질 못 한다는 이야기도 있다.[1]
벼룩을 통에 가두어 뚜껑을 닫은 채 두면, 원래라면 충분히 뛰어넘을 수 있는 높이인 데도 탈출하려고 계속 뛰면서 뚜껑에 계속 부딪히면 이후 뚜껑을 열어도 뚜껑 높이까지 밖에 뛸 수 없게 되어 통 속에서 나오질 못 한다는 이야기도 있다.[1]
2.1. 개[편집]
1975년 셀리그먼은 24마리의 개를 세 집단으로 나누어 상자에 넣고 전기 충격을 주었는데, 각 집단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 제1집단의 개에게는 코로 조작기를 누르면 전기 충격을 스스로 멈출 수 있는 환경을 제공 (도피 집단)
- 제2집단의 개에게는 코로 조작기를 눌러도 전기 충격을 피할 수 없고, 몸을 묶어두어 어떠한 대처도 불가능한 환경을 제공 (통제 불가능 집단)
- 제3집단의 개들은 같은 상자 안에 두고 전기 충격을 주지 않음 (비교 집단)
(제1집단이 조작기를 누르면 제2집단의 전기 충격도 꺼짐으로써 두 집단은 동일한 시간의 전기 충격에 노출되었다.)
그렇게 24시간이 경과한 뒤 셀리그먼은 가운데 담을 두고 담을 넘으면 전기 충격을 피할 수 있는 상자에 세 집단을 옮겨두어 전기 충격을 주었다. 세 집단 모두 동일한 환경에서 가운데 벽을 넘으면 전기 충격을 피할 수 있는 상황이었고 제1집단과 3집단은 모두 중앙의 벽을 넘어 전기 충격을 피했지만, 제2집단만은 구석에 웅크리고 앉아 전기 충격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즉 제2집단은 자신이 어떤 일을 해도 그 상황을 극복할 수 없을 것이라는 무기력이 학습된 것이다. 셀리그먼은 이를 보고 학습된 무기력이라 명명했다.[2]
2.2. 사람[편집]
인간에게의 실험 또한 심리학자 도널드 히로토(Donald Hiroto)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이 연구는 인간에서의 학습된 무기력의 효과가[3] 유사하지 않은 상황에도 일반화되는가를 검증하였다. 이것은 무기력 현상이 전기쇼크 또는 소음과 같은 도피할 수 없는 혐오적 상황뿐만 아니라 글자 수수께끼와 같은 해결할 수 없는 인지적 과제에 의해서도 유발되는가를 탐색하는 연구였다. 히로토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두 가지 학습된 무기력 실험을 하였다. 한 실험에서는 도구적 실험 과제를 택하고 혐오 자극으로 소음을 사용한 실험을 하였다.
- 도피 가능한 집단은 버튼을 누르면 소음이 꺼지는 것을 학습하였다.
- 결합 집단은 동일한 소음을 듣도록 되어 있으나, 스스로의 어떤 반응[4]으로도 이를 통제할 수가 없었다.
- 통제 집단에게는 소음을 전혀 들려 주지 않았다.
(위의 실험과 동일하게 도피 가능 집단이 버튼을 누르면 결합 집단의 소음도 멈춘다.)
그 후 모든 피험자들에게 소음을 들려주는 상황에서 반응하게끔 한 결과, 다른 동물에서와 같이 도피 가능 집단과 통제 집단의 피험자들은 모두 손을 옮기고 반응을 했다. 하지만 결합 집단의 피험자들은 도피나 회피 학습을 하지 못했다. 대부분 수동적으로 앉아서 불쾌하고 고통스러운 소음을 받아들이고 있었다. 이 실험으로 통제 불능의 경험이 인간에게도 학습된 무기력을 유발한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이러한 현상은 자신의 반응과 이 반응에 대한 강화가 무관함을 학습하거나 무관할 것으로 기대하는 데서 발생하였음을 입증해 줬다.
3. 폐해[편집]
학습된 무기력은 실패에 대한 두려움에서 시작하는데, 이는 부정적인 생각을 불러 일으키며, 그 생각은 경험에 따라 증폭된다. 실패를 낭비로 여기는 오늘날 사회에서는 그러한 상황이 일어나는 것이 매우 쉽다. 노예들이 그러한데, 예전 일상과 너무나 다른 환경에서 강제적으로 부당함을 경험하고 처음에는 이와 맞서지만 지속적으로 반항에 따른 폭행을 당하고 불이익을 받으면, 나중엔 복종하고 사소한 것에 유포리아적 행복을 느끼게 된다. 예를 들어 일을 일찍 끝내면 빵을 주겠다는 주인의 말에 남들보다 일을 빨리 끝내 빵을 얻어 먹고 그에 행복을 느끼는 것인데 노예 근성 참고. 군대 특히 훈련소에서도 사람들이 벗어날 수 없는 지독한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면 입대 전에는 쳐다도 안 보던 조촐한 과자, 빵, 라면, 짧은 휴식 및 (배치 후)휴가에도 목숨을 걸고, 성취하면 감격하고 만족하게 된다. 즉 단념하여 더 이상은 바라지도 않게 된다. 또한 이는 독재자에 의한 정치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는데, 중세까지만 해도 동서양을 막론하고 공개처형을 하였고, 이는 시민들에게 공포를 심어 주어 복종을 유도한다.
특히 교육 분야에서 중요시된다. 자라온 환경이나 개개인의 학업성취도의 차이는 필연적이고 이로 인해 학습된 무기력을 지니면 계속되는 학업 성취에서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하지 못하여 쉽게 학업을 포기하게 되며, 학교는 계속된 실패만을 만드는 장소로 느껴지게 된다. 특히 학교는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청소년의 자아에 큰 악영향을 주어 이것이 더 번지면 학업뿐 아니라 모든 일에 학습된 무기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특수교육 분야에서 장애 학생들이 학교나 가정에서 학습, 적응 행동 실패가 지나치게 누적되는 경우 학습된 무기력으로, 연습으로 향상할 수 있음에도 어떠한 시도조차 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교육 분야에서 중요시된다. 자라온 환경이나 개개인의 학업성취도의 차이는 필연적이고 이로 인해 학습된 무기력을 지니면 계속되는 학업 성취에서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하지 못하여 쉽게 학업을 포기하게 되며, 학교는 계속된 실패만을 만드는 장소로 느껴지게 된다. 특히 학교는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청소년의 자아에 큰 악영향을 주어 이것이 더 번지면 학업뿐 아니라 모든 일에 학습된 무기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특수교육 분야에서 장애 학생들이 학교나 가정에서 학습, 적응 행동 실패가 지나치게 누적되는 경우 학습된 무기력으로, 연습으로 향상할 수 있음에도 어떠한 시도조차 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3.1. 악용[편집]
여러 원인으로 무기력에 빠진 사람들을 노리는 것으론 대표적으로 곤경에 처한 사람들이 자주 빠지는 사이비 종교가 있지만, 비단 이들만이 아니라 각종 사기, 다단계, 심지어 정치 신념이나 단체도 특정 계층이나 지역, 시대에 광범위하게 퍼져 큰 파장을 낳기도 한다.
특히 대공황이나 국가적 위기가 찾아오는 시기에는 이런 무기력이 대량으로 전염되기에 작게는 거대한 사이비 종말론이나 사기사건, 크게는 극단주의가 만연해져 심각한 사회적 손실을 야기할수도 있다.
독재정부에서 우민화 정책과 더불어 가장 즐겨 쓰고 싶어하는 전술 중 하나로 북한과 같은 희대의 대재앙을 불러오기도 한다.[5]
특히 대공황이나 국가적 위기가 찾아오는 시기에는 이런 무기력이 대량으로 전염되기에 작게는 거대한 사이비 종말론이나 사기사건, 크게는 극단주의가 만연해져 심각한 사회적 손실을 야기할수도 있다.
독재정부에서 우민화 정책과 더불어 가장 즐겨 쓰고 싶어하는 전술 중 하나로 북한과 같은 희대의 대재앙을 불러오기도 한다.[5]
4. 치료[편집]
일상에서 겪는 학습된 무기력은 스스로 이겨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주변에서 필사적으로 내밀어서 시도를 다시 떠밀려서 하게 되고 성공의 경험이 쌓이게 될 때 비로소 탈출 가능하다. 다만 타인이 대상자를 어설프게 도와주는 것보다는 대상자를 상세히 파악한 상담사나 혹은 그를 잘 아는 주변 사람(가족 혹은 절친)이 대상자가 가지고 있던 가능성을 제시하고 일깨워주는 쪽이 제대로 된 설명이다. 즉 단기간에 홀로 어떻게 해보는 것이 아닌 시간을 두고 외부의 협력과 자신의 의지로 같이 이겨내야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