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꾸눈 > 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애꾸눈

페이지 정보

작성자 천안장애인성폭력상담소 조회 1,083회 작성일 22-12-28 11:24

본문

1. 개요[편집]

한쪽 눈이 없거나 먼 사람, 혹은 그런 상태를 의미하는 말. 애꾸, 애꾸눈이, 외눈박이 등도 같은 의미다. 한자로는 반맹(半盲)이라고 한다. 때로는 독안(獨眼), 편목(片目)이라는 표현도 쓰는 듯. 척안(隻眼)이라고도 한다.

2. 설명[편집]

궁예
드라마 태조 왕건의 궁예.

원인으로는 병(종양 등) 따위 내인적 요인이나 사고 혹은 전투 중 입은 부상 따위 외인적 요인, 기형에 의한 선천적 요인인 경우도 있다.

한쪽 눈이 실명한 경우 신체분류상 시각장애 6급에 해당한다. 이 경우 장애인이더라도 징병검사를 받아야 하지만, 징병검사 이후에는 100% 병역면제다. 당연히 국정원과 경찰과 소방관과 장교와 부사관과 군무원과 교도관 등 특수직 공무원은 지원이 절대 불가능이다. 애꾸눈이 병역면제를 받을 수밖에 없는 이유는 눈이 없는 쪽 방향으로의 대응이 어렵기 때문이다. 다만 일반 공무원 채용에선 불이익을 받지 않는다. 흔히들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이지만 장애직 같은 건 없다. 장애인만을 채용하는 제도는 장애인 구분 모집이라고 한다. 장애인 구분 모집에 대응하는 용어는 그냥 일반 모집, 저소득층 구분 모집 등이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한쪽 눈이 먼 것이 아닌, 아예 선천적으로 얼굴 한 가운데에 눈 하나밖에 달리지 않은 퀴클롭스라는 괴물도 있다.[1] 그리고 현실에서도 단안기형 혹은 단안증(Cyclopia)이라는 기형이 있는데, 태아의 성장 과정에서 안구가 좌우로 분화되지 못하여 눈이 하나인 것처럼 보이게 태어나는 질환이다. 이러한 단안기형은 두 눈 중 한 눈이 없거나 먼 상태가 아니라 처음부터 눈이 하나인 것이므로 애꾸눈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으로.

병으로 인해 시력을 잃는 경우는 상관 없지만, 외부에 의해 한쪽 눈을 잃을 경우 안구가 파열되거나, 안구의 내용물이 새나올 수 있는 손상을 입으면 멀쩡한 쪽 눈도 실명할 수 있다.

안구가 파열되거나 손상이 심하여 안구 내부의 장액이 또는 내부 조직이 유출될 경우, 항원 - 항체 반응에 의해 안구 내부 조직에 대한 자기 항체가 생성돼서 반대편 안구를 공격해서 시력이 떨어지게 된다. 안구 내부는 태아 시절의 초반, 항원-항체 반응을 시작할 능력을 갖추기 이전에만 자신의 몸에 노출되어 있다가 안구의 구조가 완전해지면 밀폐되기 때문에, 후천적인 요인으로 몸의 항원 체제에 노출될 경우 '자신'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그렇게 때문에 안구 파열 등의 손상을 입었을 경우, 반대편 눈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안과에서는 즉각 적출해버린다. 하지만 현재는 의학의 발달로 눈에 관통상을 입어도 그 크기가 크지 않은 경우 수술로 회복시킬 수 있다. 이때 시력은 거의 회복되긴 하나 이런 시술을 할 수 있는 병원은 많지 않다.

인간의 뇌는 두 눈의 상 차이를 이용해 원근을 파악하는데, 애꾸가 되면 원근감을 파악하기 어려워져서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있게 된다고 한다. 초등학교 때 아이들에게 한쪽 눈을 감고 두 개의 연필 끝을 정확히 맞대는 실험을 시켜서 알려주기도 한다.[2]

또한 잠깐씩 한 눈으로 보는 것과는 또 다른게, 양 눈으로 볼 때는 의식할 수 없는 것들(속눈썹, 눈깜박임, 맹점 등)이 지속적으로 느껴진다.

따라서 격한 작업이나 빠른 움직임이 어려워지므로, 이 상태가 되면 국방부 퀘스트의 주요 안습 스탯 중 하나이다. 무조건 5급 판정. 하지만 만약 안구가 없는 무안구라면 닥치고 6급 판정. 즉 면제라는 거다. 예비군은 당연히 면제되며 민방위의 경우 5급은 소집 대상이지만 한쪽 시야 결손은 장애인복지법에 의해 등록 가능한 장애이므로 등급을 받으면 5급이라도 민방위 면제가 된다.

과거에는 안대를 해서 가리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의안을 쓰는 경우가 많다. 속을 채워주던 안구가 적출된 상태 때문에 그냥 빈 채로 두면 안면에 변화가 온다고. 그리고 의안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시력이 남아있는 한쪽 눈만 열심히 움직여 안구 움직임에 비대칭이 오게 되는데, 이 때문에 안경이나 선글라스를 끼는 경우도 있다. 안구가 남아있는 맹인들이 선글라스를 끼고 다니는 것과 같은 이유.[3]

강렬한 이미지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애꾸였는지의 여부와는 상관 없이 애꾸로 각색되는 경우도 있다.

해적의 상징 중 하나이기도 하다. 그런데 사실 해적이나 선원들이 안대를 쓰는 이유는 꼭 애꾸라서만이 아니였다고 한다. 우리 눈은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가거나 혹은 반대 상황일 때 주변 상황에 적응하기 전까진 일시적으로 시력이 상실되는데[4], 선박 생활 시 어두컴컴한 창고에 들어갔을 때 미리 안대로 가려놨던 눈을 사용하면 어둠에 적응이 끝난 눈이기 때문에 적응기간 없이 잘 보인다.[5] 그 외에도 위치 측량을 할 때 태양을 똑바로 보아야 했기 때문에 눈을 보기 위해서 쓰기도 했다고 한다.

장애 캐릭터 모에에 해당하는 캐릭터에게 주요 포인트 중 하나이면서 가장 대중적이고 흔한 요소이다. 이것은 애꾸가 이론의 여지가 없는 장애이지만 일상 생활에 큰 지장이 없고, 또 외적으로 혐오감이나 거부감을 일으키는 일이 적기 때문이며, 한니발 바르카궁예다테 마사무네모세 다얀하후돈 등 역사에 무(武)로 이름을 남긴 사람들 중 애꾸가 많았기 때문에 오히려 일종의 후광 효과까지 갖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애꾸나 안대 착용 캐릭터들은 창작물에서 지나칠 정도로 흔히 등장한다.

장님의 나라에선 왕이 되는 존재라고 한다. 다만 이 이야기를 비틀 때는 오히려 장님들이 애꾸를 장님으로 만들 것이라고 한다. 장님이 다수이기 때문에 이 곳에선 오히려 애꾸가 장애인으로 취급받을 것이라는 이야기이다. 보통 후자의 경우는 중우정치나 전체주의를 비판할 때 묘사된다. 눈먼 자들의 도시라는 책이 '모두가 장님일 때 한 명만 눈이 보이는' 상황을 묘사하고 있다. 다만 전개는 조금 다르다.

실제 애꾸는 아니지만 한쪽 눈을 앞머리로 가려서 애꾸와 비슷한 포스를 풍기는 헤어스타일도 있다. 가린 비대칭머리라고, 이모 패션 쪽에서 자주 보이는 편. 후까시 계열 캐릭터에게도 많이 보인다. 어떤 일본 여행기 계통의 만화에서는 호스트 스타일이라고도 한다. 이 경우엔 눈이 멀쩡한 상태에서 이러는 것이므로, 앞머리가 자꾸 눈을 찌르니 활동량이 많은 사람에겐 매우 불편하다.

2D 대전액션게임에서는 캐릭터의 위치에 따라 애꾸가 된 눈의 위치가 바뀌는 비범한 상황을 볼 수 있다. 사가트하이데른 같은 캐릭터가 그 예.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보통 2D 대전액션게임은 1P측 기준(왼쪽) 이미지만을 만들어 놓고 캐릭터 위치에 따라 해당 이미지의 좌우 대칭만 바꿔서 사용하기 때문. 실제와 같이 표현하려면 반대쪽 모습에 상응하는 반대쪽 이미지도 만들어야 하는데, 정작 그런 수고를 들여도 알아주는 사람은 별로 없기 때문에 굳이 그렇게 작업하지 않는다. 투자 대비 효율이 심하게 떨어지는 셈.

3. 불편한 점[편집]

일단 양쪽 모두 실명이 아니라 한쪽 눈은 남아있기 때문에 완전 맹인과 비교할 급은 아니나, 그렇다고 비장애인과 동일하게 취급하기도 어렵다. 생각보다 불편한 점들이 많다.

한쪽 눈이 없기 때문에 시력은 가지고 있으나, 원근감/중심을 잡는 게 상당히 불안정하다. 때문에 일상에서 비틀거리면서 걷는 경우가 가끔씩 있다.다른 사람과 걸을때 한쪽으로 조금씩 쏠려서 걸어 어느순간 옆 사람과 자주 부딪친다. 특히 원근감이 중요한 구기종목 같은 공놀이 계열은 완전 쥐약. 죽어라 연습하면 못할 건 없겠지만, 보통 사람들보다 훨씬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물론 어떤 장애든 적응기간에 따라 다른 감각 또는 신체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거나 이를 나름대로 극복하는 방법을 스스로 터득하는 등 개인별 어느정도 차이는 존재하기 때문에 잘하지는 못할지언정 못하진 않는다는 의견도 있다. [6][7] 운동을 하더라도 웬만하면 구기종목보다는 달리기조깅자전거 타기,[8] 보디빌딩펌프 잇 업[9] 등, 공이 없는 운동이나 신체 활동을 선호한다.[10] 양 눈 시력이 있어도 부동시가 심한 사람이라면 이런 느낌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가장 문제가 큰 건 운전이다. 없어진 눈의 방향에 있는 백미러를 볼 수가 없다. 게다가 없어진 눈에 따라 좌회전이나 우회전을 할 수 없다. 애초에 시력을 상실한 눈의 절반 시야 자체가 완전히 사라진데다, 원근감 문제로 앞에 있는 차나 사물의 거리를 파악하는 게 힘들기 때문에 위험성이 증가한다. 운전 면허를 딸 수 있으며 여러모로 불편해도 운전 자체는 가능하지만 본인 스스로가 운전 자체를 포기하는 경우도 있다.(실제 안과에서도 위험성을 강조한다.)

또한 3D 효과를 일체 즐길 수가 없다. 원근감을 느낄 수 없기 때문인데, 3DS나 3D 영화를 보면 입체로 보이지 않고 평면으로 보인다. 비슷하게 불편한 점으로는 날아다니는 벌레를 잡기 너무 힘들다. 특히 여름에 모기를 못 잡아서 다른 사람한테 잡아달라고 부탁해야 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눈의 피로를 느끼는 게 빠르다. 덤으로 너무 피로가 쌓이다보면 시력 감소로 이어지니 이래저래 관리를 잘해줘야 한다.[11]

그래도 이가 없으면 잇몸이라고, 인체는 주어진 상황에 자연적으로 적응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시력 멀쩡한 사람이 한쪽 눈을 감고 움직이는 것보다는 나아진다. 물론 눈 두 쪽 다 멀쩡한 사람에 비해 불편한 것은 당연하지만.

의안 착용자의 경우는 더욱 더 절실히 관리가 필요하다. 의안의 경우 너무 습하거나 건조하면 눈곱이 생기기 쉽고, 의안 착용한 안쪽이 쉽게 부어오른다. 잘못 관리하면 재수술을 받아야 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가끔 재수 없게 공 같은 거에 의안 쪽 맞으면 그야말로 큰 사고다.

사회적인 문제로는 한쪽 눈이 없으면 티가 금방 나기 때문에 안면에서 직접적으로 내색은 안하지만 이래저래 꺼려진다.[12] 아무래도 눈은 인상, 관상에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사람이 다른 사람을 마주칠 때 먼저 바라보는 부분이 눈이라서 그런 것 같다.[13] 한쪽 눈이 없거나 손상되었거나, 한쪽 눈은 움직이는데 의안만 안 움직여지면 꺼려지는 것도 당연한 것 같다. 참고로 이런 이유로 사시 역시 나쁜 취급을 받으며, 심지어는 시력적으로 아무 문제가 없는 삼백안/사백안 역시 꺼려지는 편이다. 실명된 쪽 눈에 안대를 하고 있는 게 그나마 나아 보이는 방법일 듯.

전략 시뮬레이션/건설&경영 시뮬레이션을 할 때도 매우 불편하다. 미니맵을 보면 게임 화면을 잘 못 보고, 게임 화면을 보면 미니맵을 못 보는 경우가 많이 생긴다.

대표자 : 박두순대표전화 : 041-592-6500팩스 : 041-592-6666이메일 : cdassd6500@hanmail.net
주소 : 충남 천안시 서북구 두정역서5길 4, 두정프라자 301호사업자등록번호 : 312-80-13827

Copyright © (사)충남장애인복지정보화협회부설 천안장애인성폭력상담소. All rights reserved.